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

[BaekJoon] 18809 Gaaaaaaaaaarden (Gold 1) - Python 문제 길고 길었던 겨울이 끝나고 BOJ 마을에도 봄이 찾아왔다. BOJ 마을에서는 꽃을 마을 소유의 정원에 피우려고 한다. 정원은 땅과 호수로 이루어져 있고 2차원 격자판 모양이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BOJ 마을에서는 직접 사람이 씨앗을 심는 대신 초록색 배양액과 빨간색 배양액을 땅에 적절하게 뿌려서 꽃을 피울 것이다. 이 때 배양액을 뿌릴 수 있는 땅은 미리 정해져있다. 배양액은 매 초마다 이전에 배양액이 도달한 적이 없는 인접한 땅으로 퍼져간다. 아래는 초록색 배양액 2개를 뿌렸을 때의 예시이다. 하얀색 칸은 배양액을 뿌릴 수 없는 땅을, 황토색 칸은 배양액을 뿌릴 수 있는 땅을, 하늘색 칸은 호수를 의미한다. 초록색 배양액과 빨간색 배양액이 동일한 시간에 도달한 땅에서는 두 배양액이 합쳐져서 꽃이.. 2023. 2. 9.
[BaekJoon] 17114 하이퍼 토마토 (Gold 1) - Python 문제 시프트의 토마토 농장은 아래 그림과 같이 토마토를 보관하는 큰 11차원 창고를 가지고 있다. 창고는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의 격자 모양이고, 각 칸에 토마토를 하나씩 보관할 수 있다. 창고에 보관되는 토마토들 중에는 잘 익은 것도 있지만, 아직 익지 않은 토마토들도 있을 수 있다. 보관 후 하루가 지나면, 익은 토마토들의 인접한 곳에 있는 익지 않은 토마토들은 익은 토마토의 영향을 받아 익게 된다. 하나의 토마토에 인접한 곳은 [±10000000000]$\begin{bmatrix} \pm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end{bmatrix}$, [0±1000000000]$\begin.. 2023. 2. 7.
[BaekJoon] 2146 다리 만들기 (Gold 3) - Python 문제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다. 이 나라의 대통령은 섬을 잇는 다리를 만들겠다는 공약으로 인기몰이를 해 당선될 수 있었다. 하지만 막상 대통령에 취임하자, 다리를 놓는다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생색내는 식으로 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 하나만을 만들기로 하였고, 그 또한 다리를 가장 짧게 하여 돈을 아끼려 하였다. 이 나라는 N×N크기의 이차원 평면상에 존재한다. 이 나라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섬이란 동서남북으로 육지가 붙어있는 덩어리를 말한다. 다음은 세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의 지도이다. 위의 그림에서 색이 있는 부분이 육지이고, 색이 없는 부분이 바다이다. 이 바다에 가장 짧은 다리를 놓아 두 대륙을 연결하고자 한다. 가장 짧은 다리란, 다리가.. 2023. 2. 7.
[BaekJoon] 16946 벽 부수고 이동하기 4 (Gold 2) - Python 문제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하려면, 두 칸이 인접해야 한다. 두 칸이 변을 공유할 때, 인접하다고 한다. 각각의 벽에 대해서 다음을 구해보려고 한다. 벽을 부수고 이동할 수 있는 곳으로 변경한다. 그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칸의 개수를 세어본다. 한 칸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칸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칸이다. 입출력 예시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 M(1 ≤ M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 M개의 숫자로 맵이 주어진다. 출력: 맵의 형태로 정답을 출력한다. 원래 빈 칸인 곳은 0을 출력하고, 벽인 곳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의 개수를 1.. 2023. 2. 6.
[BaekJoon] 16933 벽 부수고 이동하기 3 (Gold 1) - Python 문제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당신은 (1, 1)에서 (N, M)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 이때 최단 경로로 이동하려 한다. 최단경로는 맵에서 가장 적은 개수의 칸을 지나는 경로를 말하는데, 이때 시작하는 칸과 끝나는 칸도 포함해서 센다. 이동하지 않고 같은 칸에 머물러있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방문한 칸의 개수가 하나 늘어나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이번 문제에서는 낮과 밤이 번갈아가면서 등장한다. 가장 처음에 이동할 때는 낮이고, 한 번 이동할 때마다 낮과 밤이 바뀌게 된다. 이동하지 않고 같은 칸에 머무르는 경우에도 낮과 밤이 바뀌게 된다. 만약에 이동하는 도중에 벽을 부수고 이동하는.. 2023. 2. 5.
[BaekJoon] 14442 벽 부수고 이동하기 2 (Gold 3) - Python 문제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당신은 (1, 1)에서 (N, M)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 이때 최단 경로로 이동하려 한다. 최단경로는 맵에서 가장 적은 개수의 칸을 지나는 경로를 말하는데, 이때 시작하는 칸과 끝나는 칸도 포함해서 센다. 만약에 이동하는 도중에 벽을 부수고 이동하는 것이 좀 더 경로가 짧아진다면, 벽을 K개 까지 부수고 이동하여도 된다. 한 칸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칸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칸이다. 맵이 주어졌을 때, 최단 경로를 구해 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출력 예시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 M(1 ≤ M ≤ 1,000), K(1 ≤ K ≤ 10)이.. 2023. 2. 5.
[BaekJoon] 16496 큰 수 만들기 (Platinum 5) - Python 문제 음이 아닌 정수가 N개 들어있는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 리스트에 포함된 수를 나열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출력 예시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리스트에 포함된 수가 주어진다.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고,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 이다. 0을 제외한 나머지 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으며, 0이 주어지는 경우 0 하나가 주어진다. 출력: 리스트에 포함된 수를 나열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출력한다. 수는 0으로 시작하면 안되며, 0이 정답인 경우 0 하나를 출력해야 한다. 입력예시1) 5 3 30 34 5 9 출력예시1) 9534330 입력예시2) 5 0 0 0 0.. 2023. 2. 3.
[BaekJoon] 1838 버블 정렬 (Gold 2) - Python 문제 버블 정렬이란 배열에서 서로 인접해 있는 값을 비교해서 작은 값이 더 뒤에 있을 때 두 값을 바꾸어 주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는 정렬 방법이다. N개의 서로 다른 정수가 A[0], A[1], ..., A[N-1]의 정수형 배열에 저장되어 있고,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 태국이는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하였다. for (i=0; i ans: ans = buf print(ans) # 결과값 출력 실행 화면 채점 결과 2023. 2. 2.
[BaekJoon] 1517 버블 소트 (Platinum 5) - Python 문제 N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 A[1], A[2], …, A[N]이 있다. 이 수열에 대해서 버블 소트를 수행할 때, Swap이 총 몇 번 발생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버블 소트는 서로 인접해 있는 두 수를 바꿔가며 정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수열이 3 2 1 이었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인접해 있는 3, 2가 바뀌어야 하므로 2 3 1 이 된다. 다음으로는 3, 1이 바뀌어야 하므로 2 1 3 이 된다. 다음에는 2, 1이 바뀌어야 하므로 1 2 3 이 된다. 그러면 더 이상 바꿔야 할 경우가 없으므로 정렬이 완료된다. 입출력 예시 입력: 첫째 줄에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로 A[1], A[2], …, A[N]이 주어진다. 각각의 A[i.. 2023. 1. 31.
[BaekJoon] 1377 버블 소트 (Gold 2) - Python 문제 버블 소트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C++로 작성했다. bool changed = false; for (int i=1; i 2023. 1. 29.
[BaekJoon] 3197 백조의 호수 (Platinum 5) - Python 문제 두 마리의 백조가 호수에서 살고 있었다. 그렇지만 두 마리는 호수를 덮고 있는 빙판으로 만나지 못한다. 호수는 행이 R개, 열이 C개인 직사각형 모양이다. 어떤 칸은 얼음으로 덮여있다. 호수는 차례로 녹는데, 매일 물 공간과 접촉한 모든 빙판 공간은 녹는다. 두 개의 공간이 접촉하려면 가로나 세로로 닿아 있는 것만 (대각선은 고려하지 않는다) 생각한다. 아래에는 세 가지 예가 있다. ...XXXXXX..XX.XXX ....XXXX.......XX .....XX.......... ....XXXXXXXXX.XXX .....XXXX..X..... ......X.......... ...XXXXXXXXXXXX.. ....XXX..XXXX.... .....X.....X..... ..XXXXX..XXXXXX.... 2023. 1. 25.
[BaekJoon] 15926 현욱은 괄호왕이야!! (Gold 3) - Python 문제 여는 괄호 ‘(’와 닫는 괄호 ‘)’로 구성된 문자열에서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른다. () 는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다 어떤 문자열 x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x)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다. 어떤 문자열 x와 y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xy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다. 현욱은 친구로부터 생일 선물로 굉장히 긴 괄호 문자열을 받았다(도대체 왜 이런 걸 선물하는걸까?). 하지만 현욱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면 굉장히 싫어하기 때문에, 받은 괄호 문자열에서 연속한 일부분을 잘라서 올바른 괄호 문자열을 만들려고 한다. 그리고 이왕이면 긴 문자열이 좋으니 현욱은 부분 구간을 최대한 길게 잘라내려고 한다. 현욱을 도와 주어진 괄호 문자열에서 위의 조건을 만족하.. 2023. 1. 25.
728x90